너무 간단해서 민망한 새 우편번호 찾기
- ● 잡학사전 General Knowledge.
- 2019. 4. 6. 17:37
살면서 우편번호를 사용할 일이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편지를 보낼 일도 거의 없고
행여 있다 해도
우편번호 때문에 반송되는 일이
극히 드물기 때문입니다.
요즘은 해외직구나
회사간 중요 문서를
보내야 할 일을 제외하고는
거의 쓸 일이 없는데요.
그래도 필요한 경우가 분명 있기 때문에
우편번호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편번호를 사용할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달 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시다면 꼭 넣는게 좋긴 하죠.
원래 우편번호는 6자리지만
2015년 8월 1일부터 5자리 개편돼
새 우편번호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우편번호는 우편물이
수집되고 배달되는 지역을 구분해주는
우편구별 지역번호를 의미합니다.
새 우편번호가 시행된 이유는
주소가 도로명주소로 바뀌면서
우편번호도 그에 맞게
바뀌게 된 거에요.
도로, 하천, 철도 등
잘 변하지 않는 기형물을 중심으로
부여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새 우편번호 찾는 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인터넷 검색창에
인터넷 우체국을 검색합니다.
인터넷 우체국을 클릭하고
홈페이지에 접속하세요.
그런 다음 스크롤을
맨 아래로 내려서
우편번호 찾기를
클릭해 주세요.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창이 하나 뜹니다.
정확한 주소를 모르는 경우에도
정확한 주소를 아는 경우에도
새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저는 수원시청의 우편번호를
알고 싶다는 가정 하에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우편번호 2개가 떴네요.
이유는 수원시청역도
검색이 돼서 그렇습니다.
이렇게 정확한 주소를 몰라도
동명이나 건물명으로도
충분히 검색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이것도 좀 복잡하지 않나요?
인터넷 우체국 들어가서
클릭하고 클릭하고 검색하고...
그래서 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우편번호 찾기를 검색합니다.
그럼 바로 우편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뜹니다.
수원시청을 검색해봤습니다.
어때요? 똑같이 나오죠?
어떻게 보면 우편번호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래도 이 우편번호 하나로 인해
신속성과 정확성이 달라지니
넣는 습관을 생활화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