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봉승 알아보기 (feat. 완투승)

야구를 좋아한지 대략 

5~6년 정도 됐습니다

정말 좋아할 때는 직접 못가더라도 

경기를 볼 수 있으면 꼭 챙겨봤고 

그것도 안 되면 하이라이트라도 

챙겨보고 하루를 마무리했었는데요.

 

그런데 요즘에는 흥미가 떨어져서 

경기는 고사하고 

하이라이트도 잘 안 챙겨봅니다

제가 응원하는 팀이 

못해서가 아니라 야구를 보면서 

왜 이렇게 재미없게 하는 것 같지 

라는 인식을 받아서 

점점 흥미가 떨어지더라구요.

 

선수들에게 간절함이 

보이는 것 같지도 않아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도 할 건 해야겠죠

오늘도 야구 용어 하나를

 정리해 볼까 하는데요.

바로 완봉승입니다




완봉승은 한 시즌에서 

1~2번 나올까말까 한 기록으로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완봉승(完封勝의 정의를 보면 

선발투수가 경기가 끝날 때까지 

무실점으로 공을 던져 

이긴 게임을 말합니다





한자의 뜻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완전할 완(). 

봉할 봉(). 

이길 승()입니다

완전히 봉해버려서 

이겼다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1점도 주지 않고 

이겼다는 것을 표현할 때 

완봉승 했다고 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노히트노런이나 

퍼펙트게임도 완봉승에 속하겠죠?



 

그리고 투수가 무실점으로 

공을 던지고 있고 팀이 이기고 있을 때 

만약 우천으로 인해 

콜드게임이 선언된다면 

이 또한 완봉승으로 

기록된다고 하니 참고로 알아두세요.



 

그렇다면 경기가 끝날 때 까지 

공을 던지긴 던졌고 팀도 이겼는데 

만약 실점을 했다면?

이럴 때는 완봉승이 아닌 

완투승이라고 합니다

완투승에서 투는 

던질 투(이며 

완벽하게 던지긴 했으나 

실점을 하고 이겼다는 의미에서 

완투승이라고 합니다.

 

완봉승과 완투승에 대해 

확실히 이해가 되셨나요?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