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뜻과 탄생배경 알아보기

가끔 티비를 볼 때 또는 책을 읽을 때 구한말이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 있으시죠? 사실 저도 들어보면서 옛날인건 알겠는데 정확히 무슨 이고 언제인지를 잘 모르고 살았는데요. 그래서 구한말 뜻과 간단히 탄생배경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구한말



1. 구한말 뜻

구한말의 뜻을 풀어보면 옛 구(), 나라 한(), 끝 말()로 하나의 국가가 지속되던 가운데 이제 그 끝이 다가오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요


구한말 뜻



정확히 의미하는 바는 조선 말기에서 대한제국까지의 시기를 말하고 있습니다. 대한제국을 1897 고종이 선포했으니 대략 이때부터 대한제국이 멸망한 1910년까지를 구한말이라고 할 수 있죠.


 


구한말 이해하기

2. 의문점이 들다

그런데 우리가 깊게 생각해 봐야 할 것이 한말이라는 단어는 있는데, 왜 한초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느냐 입니다. 어쨌든 끝이 있으려면 시작도 있어야 하는데 학교를 다니면서도 티비를 보면서도 인터넷 기사를 보면서도 한초라는 단어를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사실 엄밀히 말해 한이라는 이름은 고종이 세운 새로운 나라를 의미하는 게 아니고, 조선을 한이라는 이름으로 고친 것뿐입니다. 이름만 바꿨다는 말은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고 교육부에서 인정한 내용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한말이라는 말이 정확히 맞는 표현인지가 의문이 드는 것입니다.

구한말 의미

 


3. 구한말의 탄생배경

그렇다면 눈치 채셨겠지만 구한말이라는 단어는 좋은 뜻이 아닙니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병합하고 나서 사용한 식민지적 언어 이죠. 사실 저는 뜻을 몰랐을 때도 잘 사용을 안 했고 왠지 거부감이 들었는데 이런 의미가 있는 걸 알고 나서 소름이 끼쳤습니다. 정말입니다...


식민지잔재





굳이 한말에 구까지 붙여서 사용했다는 것은 당시 일본이 한국을 얕잡아 보기 위한, 그리고 우리 국민들의 정신을 개조하려고 만든 언어라고 보입니다


잔재청산



개인적으로 저는 구한말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너희가 그럼 그렇지"와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너넨 해도 안 되니까 그냥 우리가 시키는 대로 따라와" 같은 생각을 주입하려고 하지 않았을까요?

 

4. 대체하기 좋은 단어

일단 넓은 의미에서는 조선말기라는 말을 사용해도 된다고 합니다. 1863~1910까지의 기간으로 고종이 즉위한 시점부터 통틀어 이야기 하는 거죠


조선말기




만약 난 죽어도 조선 말기는 이해가 안 간다 싶으면 대한제국기라고 하시면 됩니다. , 대한제국기는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1910년을 의미합니다.

대한제국기


 

아직도 우리 실생활에서는 식민지적 언어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구실(핑계)이나 밧데리(배터리)등 청산하지 못한 언어들이 아직도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식민지


그러나 구한말이라는 단어의 뜻은 다른 말보다 자존심을 긁는 단어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아니, 아예 사용을 하지 않으시면 좋을 것 같네요.

 

 

  

<추천글>


한글날 공휴일 지정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