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임기로 알아보는 역사상식
- ● 잡학사전 General Knowledge.
- 2019. 9. 26. 20:43
현재 우리나라의 대통령임기는 5년입니다. 대통령임기가 5년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13대 대통령이었던 노태우 전 대통령 때부터인데요.
그 말인즉슨 1~12대는 완전 뒤죽박죽이었다는 소리고, 13대 이후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기 때문에 역사적 상식으로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 간단하고 쉽게 알아보려고 하니, 차근차근 잘 따라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역대대통령 임기기간
▶ 1~3대 대통령 이승만
1948~1960년 ☞ 12년
▶ 4대 대통령 윤보선
1960.08~1962.03 ☞ 1년 7개월
▶ 5~9대 대통령 박정희
1963~1979 ☞ 16년
▶ 10대 대통령 최규하
1979.12~1980.08 ☞ 8개월
▶ 11~12대 대통령 전두환
1980~1988 ☞ 8년
▶ 13대 대통령 노태우
1988~1993 ☞ 5년
▶ 14대 대통령 김영삼
1993~1998 ☞ 5년
▶ 15대 대통령 김대중
1998~2003 ☞ 5년
▶ 16대 대통령 노무현
2003~2008 ☞ 5년
▶ 17대 대통령 이명박
2008~2013 ☞ 5년
▶ 18대 대통령 박근혜
2013.02~2017.03 ☞ 4년
▶ 19대 대통령 문재인
2017.05~
2. 극과극
대통령임기를 보면 13대 노태우 대통령 때부터는 거의 5년씩 재임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전에는 편차가 심하기도 했는데요. 그렇다면 가장 짧은 임기를 재임한 대통령과 가장 긴 임기를 재임한 대통령은 누구일까요?
(1). 가장 짧은 임기 대통령
가장 짧은 임기로 재임한 대통령은 10대 최규하 대통령으로 약 8개월밖에 대통령을 하지 못했습니다. 급하게 대행으로 하고 있긴 했지만 어쨌든 1년도 채우지 못했네요.
(2). 가장 긴 임기 대통령
가장 긴 임기로 재임한 대통령은 5~9대 박정희 대통령으로 약 16년 동안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독재라는 타이틀을 벗어날 순 없지만, 어쨌든 무려 16년이나 대통령을 역임했죠.
3. 달라지는 대통령임기기간
13대 노태우대통령 전에는 재임기간도 뒤죽박죽에 쿠데타로 대통령이 된 인물도 많아서 엄청 불규칙적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시작되는 달도 일정하지 않을 수밖에 없죠.
그러나 13대부터는 직선제로 대통령이 선출됐고, 그해 2월부터 5년 후 2월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는 것이 자리매김했습니다.
하지만 18대 대통령이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3월에 탄핵을 당하면서 시작되는 달이 바뀌었는데요. 5월에 19대 대통령 보궐선거가 진행됐고, 문재인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바로 임명이 됐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2월이 아닌 5월이 시작하는 달이 되었습니다.
즉 제 20대 대통령선거는 2022년 3월 에 진행될 것이고, 여기서 당선된 당선자는 5월부터 대통령직을 수행하게 됩니다.
4. 뜻밖의 제외자들
원래 대통령선거는 만 19세 이상만 투표를 할 수 있죠? 그런데 12월에서 7개월 앞당겨진 5월 9일에 투표를 진행했기 때문에 1998년 5월 10일생 까지만 투표를 할 수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5월 11일생 부터는 투표를 할 수가 없었죠.
"그래봤자 얼마나 되겠어" 하실 수도 있겠지만 통계청에 의하면 약 40만 명이나 된다고 하네요. 원래대로라면 처음으로 대통령선거 투표를 하는 거였는데 5년 후를 기약하게 된 것이죠.
이렇게 대통령임기를 통해 우리나라 대통령의 역사를 간단하고 재밌게 알아봤는데요. 정치라고 하는 분야를 너무 딴 세상처럼 여기지 말고 관심을 갖고 나아간다면 더 발전하는 대한민국이 되리라 믿습니다.
<연관글>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