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소소한 일상 Daily Life/나의 이야기 My Story
- 2020. 3. 26. 09:48
아쉽게도 이태원 클라쓰가 막을 내렸는데요. 워낙 웹툰으로 인기가 높아서 과연 만족감을 줄 수 있을지 걱정이 됐는데, 깔끔하게 마무리가 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이태원 클라쓰가 끝나고 후속작으로 부부의 세계가 방송되는데요.
2014년 JTBC에서 파격적인(?)내용으로 선보였던 밀회의 김희애가 다시 JTBC 드라마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드라마의 제목은 부부의 세계로 뭔가 또 대충 감이 오기 시작합니다. 일단 믿고 보는 배우라는 점에서 기대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1. 부부의 세계 출연진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일단 부부의 세계 남녀 주인공으로는 김희애와 박해준이 맡습니다. 그 외의 출연진들은 박선영, 김영민, 채국희, 이경영, 김선경, 전진서, 박충선, 정재성, 이무생, 한소희, 심은우, 이학주, 신수연 등이 출연을 합니다. 역시나 드라마의 단골손님이라 불리는 또경영 배우도 출연을 하네요.
2. 원작
부부의 세계 원작
부부의 세계는 영국 드라마인 Doctor Foster를 원작으로 만든 드라마인데요. Doctor Foster에서 젬마와 사이먼은 부부로 나옵니다.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그러던 어느날 부인인 젬마는 남편이 바람을 피운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요. 하지만 이를 모르는 남편 사이먼은 계속 아내를 속이며 바람을 피웁니다. 그러한 상황속에서 서로 싸움을 하는 내용인데요.
닥터 포스터에서는 아내 젬마가 남편의 불륜현장 증거를 포착하기 위해 여러모로 노력(?)을 하는데 의외로 긴장감 있고 재밌게 다가오기도 합니다.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우리나라에도 한 때 막장드라마가 유행했는데, 그런 것과 아주 비슷하게 방영된 드라마입니다. 이것을 각색해서 부부의 세계로 방영을 하는 것이죠.
3.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l 김희애(지선우). 가정의학과 전문의, 고산시 가정사랑병원의 부원장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지선우는 교사인 아버지와 간호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무남독녀로 유복하게 자랐지만 17살이 되던 해에 부모를 모두 잃게 됩니다. 그때부터 그녀는 믿을 사람은 자신 밖에 없다 생각하여, 강하게 자라나게 됩니다.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
|
그래서 그녀는 외로움보다 주변에서 동정어린 눈빛으로 처다보는 것이 더 힘들었죠. 그렇게 그녀는 열심히 공부해서 서울에 있는 의대에 진학을 하게 되었고, 결혼도 하여 행복한 가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행복한 가정안에서 여전히 남편의 변함없는 사랑을 받으며, 아들도 올바르게 성장하는 모습에 부족할 것 하나 없는 삶이었습니다. 또한 지위와 명성으로 인해 정말 다 얻은 듯한 모습의 삶이었는데요. 하지만 그것은 남편의 바람으로 인해 모든 것이 송두리째 바뀌게 됩니다.
l 이태오(박해준). 영화감독, 엔터테인먼트 사업가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박해준은 영화감독이라 그런지 인간적이고 감정적인 사람으로 나옵니다. 그러한 것들이 로맨틱하게 작용하다 보니, 연애에 있어서는 아주 최적화된 남자라고 할 수 있죠.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
|
|
|
조감독 생활 8년만에 장편영화 데뷔를 하지만 실패하고 맙니다. 그렇게 시나리오 작업을 한다는 핑계로 결혼 후에도 이렇다할 작품없이 지내다가 부인인 선우의 지원으로 작은 엔터테인먼트를 차리게 됩니다.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그러다가 지자체의 문화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영화제작을 추진하게 되죠. 하지만 그렇게 지원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의사 아내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는데, 애써 그것을 부정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부부의 세계
열등감인지 뭔지 모르겠지만 그는 아내 덕이 아닌 자신 스스로 성공했다는 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인물입니다. 물론 아내를 사랑하고 엄마로서 모범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아내를 두고...
부부의 세계
일단 부부의 세계는 2020년 3월 27일부터 방영이 되며, 방영시간은 금, 토 10:50분입니다. 좀 늦게 시작하는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래도 시청을 하는데, 상관은 없죠.
부부의 세계 등장인물
특히나 김희애가 이번에는 또 어떤 연기력을 보여줄지 굉장히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특급 칭찬이야”에 버금가는 유행어가 하나 나왔으면 좋겠네요.
이 글을 공유하기